영화 속 숨은 아르데코 찾기 '위대한 개츠비'


산업 디자인의 시초로 불린 아르데코는 가구에서 독보적인 특징을 드러낸 후, 인테리어에서도 오랜 인기를 이끌어왔다. 미니멀리즘을 추구하는 이들이 많아지는 요즘 세대에도 통하는 디자인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인테리어만으로도 원하는 분위기를 연출해내는 덕분에 레스토랑, 극장, 카페 등의 상업적인 공간에서 주로 환영받아왔다.


그리고 이러한 인테리어는 영화 속에서도 분위기 연출에 도움이 되었다. 대표적인 예시로 소설로 익히 유명한 이야기인 '위대한 개츠비'가 있다. 오늘은 이 영화 속에서 자연스레 스며들어 있는 아르데코 디자인에 대해 파헤쳐보려 한다.


아르데코의 또 다른 명사, 위대한 개츠비


이미 오랫동안 소설로 유명세를 떨쳤던 위대한 개츠비가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주연의 영화로 탄생하며, 많은 화제를 몰고 왔다. 평론가들은 영화 자체의 작품성과 흥행에 대해 평가를 줄지었지만, 이들만 관심을 가진 것은 아니다. 인테리어 디자이너들에게도 흥미진진한 영화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 영화는 1920년대 뉴욕 부유층의 인테리어를 고증하여 화려함과 사치의 시대가 잘 표현되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영화 내내 보이는 인테리어 또한 전형적인 아르데코 양식이다. 아르데코는 산업화시대의 기계 생산과 어울리는 직선적인 형태와 반복되는 패턴이 특징인 양식이다. 이전에 성행한 아르누보의 장식성과 르네상스의 기하학적 명료함을 포스트 모더니즘적인 관점에서 동시에 이해한 것이다. 한마디로 모든 분야에서 역동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던 미국의 사회현실과 잘 맞아떨어진 양식이었다.

ⓒ 7321  DESIGN


시대적 배경인 1920년대를 조금 더 들여다볼까? 이 때는 장식적인 인테리어에 있어 새로운 기술과 디자인이 접목되었던 시대라고 볼 수 있다. 전쟁의 포화에서 벗어나, 물질적인 면을 추구하고 여흥을 즐기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갔다. 전쟁 이후 신분은 사라졌으나 '자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상류층의 재편이 일어난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아르누보 사조는 저물었다. 곡선이 많고 유려한 장식적 스타일이었던 아르누보가 사라졌고, 깔끔하고 도형적인 라인이 두드러지는 아르데코 스타일이 부상했다. 산업혁명을 통해 부를 축적한 인물들을 근간으로 아름답다는 찬사를 받기도 했다. 금전을 만들어낸 기계에 대한 암묵적인 심취가 아르데코 스타일의 유행을 불러왔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영화 속에서는 아르데코의 어떤 특징이 드러나고 있는 것일까?


Ⅰ. 수직선과 기하학적인 패턴


ⓒ 위대한 개츠비 스틸컷


감독의 의도를 담아 연출한 컷들이 여러 모로 잡히는 부분이 많다. 아르데코의 특징인 대칭을 살린 장면을 자주 드러냈는데, 수직으로 떨어지는 기둥과 발코니의 형태가 당시 양식을 잘 표현해내고 있다.



더불어 기하학적인 패턴을 자주 활용했는데, 대칭을 반드시 이루고 있는 모습을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화려한 컬러를 이용했지만 별다른 장식 요소가 없어도 컬러와 패턴만으로 분위기가 연출되는 장면이다.



내부 인테리어에 주로 사용되는 아르데코 스타일의 패턴들이다. 이러한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별다른 소품이 없어도 인테리어가 완성된 듯한 느낌을 자아낼 수 있다. 패턴이 복잡해보여도 도형적으로는 단순한 형태들이 반복될 뿐이기에, 색감과 함께 위엄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진다.



Ⅱ. 작은 소품도 가구도 모두 화려하게


한 컷만 보아도 여러 소품들과 조명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실제로 이 공간의 천장에는 샹들리에 하나가 아닌 여러 개를 줄지어 달아 놓았는데, 이 또한 아르데코의 대표적인 인테리어 스타일이다.


거실 공간의 가구도 제각기 다른 매력을 자아낸다. 소파의 암 부분도 지금과는 다르게 원목을 드러나게 사용하고 있고, 끝부분이 튀어 올라오며 곡선미를 살리고 있다. 기하학적인 패턴의 소파와 카펫까지 포함하여 이 시대의 느낌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소파 사이에 있는 사이드 테이블과 가려서 보이지 않는 테이블까지 상아와 놋쇠, 그리고 이국적인 패턴의 원목을 사용하여 멋을 부린 디자인이라는 점을 보이고 있다. 참고로 영화에 사용된 가구들은 당시에 만들어진 가구가 아니라 전부 아르데코 컨셉을 반영하여 새로 제작한 제품들이다. 당시 유행을 일으킨 디자인 양식을 영화 장면 곳곳에 담아내기 위한 노력이라고 볼 수 있다.


ⓒ 안락의자 / 차 접대용 식기 / 차 테이블, 폴 폴로, 네이버 미술정보


프랑스의 대표적인 아르데코 디자이너 폴 폴로의 작품들이다. 순수한 모더니스트들에게는 속물적 디자인이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지만, 당시 대중에게는 평범함 속에 숨어든 디테일로 신비로운 매력을 뿜어내는 존재가 되기도 했다. 이외에도 이러한 스타일의 아르데코 의자는 영화에서 상류 계층의 집안이나 최고급 공간을 장식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었다.


Ⅲ. 동양미와 결합된 이국적인 분위기



머틀의 집 안 거실 풍경이다. 다소 협소한 공간이지만 컬러와 패턴이 제법 과감하고 화려해 보인다. 하지만 디테일을 하나씩 살펴보면 이국적인 느낌이 들고, 이는 곧 아르데코 스타일이라는 생각을 들게 한다. 램프의 갓이나 의자에 사용된 패턴만 본다면, 과연 쉽게 미국과 유럽 스타일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컬러에도 어느 정도 영향이 있어서인지 인도나 중국의 영향을 받은 듯 하다.


더불어 강렬하게 사용된 붉은색은 앞에서 소개된 데이지의 거실과는 정반대의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사진에 보이는 톰은 머틀 부인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고 있기에, 톰의 행동에 근거가 될만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이러한 인테리어를 만들어낸 것이다.



이외 앞서 보이던 다른 장면에서도 유달리 화려한 패턴이 눈에 띔을 알 수 있다. 이국적인 패턴의 벽지, 보이지 않는 장면에서는 천정에서 무겁게 내려오는 전등과 비즈 발 등이 마치 무대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지금의 아르데코 스타일에서는 좀 더 미니멀한 느낌이 크니까 다른 스타일이지 않냐고 의문이 생길 수도 있다. 하지만 현대로 오면서 여전히 아르데코 스타일은 유지 중이다. 패턴이 점차 단순해졌지만 직선적인 패턴으로 깔끔함을 강조했고, 대신 여러 가지 컬러로 포인트를 주었다. 과감한 색은 인테리어에 어느 정도 무게감을 줄 수 있으며, 동시에 고급스러운 분위기까지 연출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한 것이다.


                  



정해진 시간 동안 연출하고자 하는 내용과 분위기를 모두 만들어내고, 오로지 영화에만 집중할 수 있어야 우리는 비로소 잘 만들어진 영화, 인상 깊은 영화라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내용을 잘 살릴 수 있는 분위기도 큰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한다. 시대상을 살리고, 각 등장인물의 관계까지 잘 드러낼 수 있을 만큼 아르데코 스타일은 뚜렷한 역할을 했고, 덕분에 위대한 개츠비는 내용은 물론 '아르데코'의 대표 명사라 불릴 만큼 찬사를 이어받아오고 있다.


카메라에 잘 잡히지 않는 부분의 소품까지 세심하게 셀렉된 제품 디자인으로 인해 장면 하나하나가 완벽하게 재현된 영화 '위대한 개츠비', 이름만큼이나 인테리어 분야에서도 위대한 영화가 되었다.

Company Info

Company : BSOME TDS I Owner : 함돈규 I Company Registration No : 671-86-02269

Mail-order-sales registration number : 제 2021-대구중구-0536 호
Address : 3F, 299, Taepyeong-ro, Jung-gu, Daegu
COPYRIGHT© 2021 BSOME TDS. ALL RIGHTS RESERVED